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확정

반응형

올해 5년차 미만 자발적 퇴사 공무원 1만3000여명 된다고 합니다. 

 

공무원 자발적 퇴사율이 가면 갈 수록 높아지는 이유가 보수적인 조직문화라는 이야기가 있으며 가장 많은 이야기로 낮은 급여, 부족한 워라벨 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공무원 퇴사율도 높아지며 공무원시험 경쟁률과 인기가 예전같지 않다고 합니다.

반응형

2024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구분 시급 월급
2024년 9,860원(2023 대비 2.5% 인상) 2,060,740원
2023년 9,620원(2022 대비 5.0% 인상) 2,010,580원

2024년 최소시급은 9,860원으로 전년대비 2.5% 인상됐습니다. 지난 2년 동안 매년 5.0%씩 올랐고, 최근 물가 상승 등 여러 경제 상황을 고려해서 1만원을 넘을 지 여부에 관심이 쏠렸는데요. 결국 1만원을 넘지 않는 선에서 결정이 됐습니다.

그렇다면 2024년 공무원 월급은 얼마일까요?

 

 

당초 공무원 노동조합 측에서는 저연차 공무원들의 낮은 보수와 그로 인한 퇴사율 증가 문제 등을 해결하자는 취지에서 37만 7천원의 정액인상을 주장하였습니다.

저연차 공무원의 경우에는 인상률 적용의 토대가 되는 기본급이 적기 때문에 정률인상을 통한 보수 결정은 처우 개선에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정액인상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정부측에서 정액인상이 공무원 보수체계를 흔들 수 있다는 이유로 수용이 불가함을 밝혔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번에도 정률 인상을 기초로 협상이 시작될 수 밖에 없었고 노동조합측에서는 높은 인상률을 먼저 제시한 후 조금씩 낮춰가는 식으로, 정부측에서는 낮은 인상률을 먼저 제시한 후 조금씩 높여주는 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수정안
노동조합
정부
1회
4.2%
2.3~2.7%
2회
4.2%
5급이상: 2.3%
6급이하: 2.8%
3회
5급이상: 3.2%
6급이하: 3.7%
5급이상: 2.3%
6급이하: 2.9%
4회
5급이상: 3.1%
6급이하: 3.6%
5급이상: 2.3%
6급이하: 3.0%

협상은 위와 같이 진행되었고 최종적으로는 전문가위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5급 이상은 2.3%, 6급 이하는 3.1%를 인상하는 것으로 합의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정부측 안에 더 가까운 상승률로 결정된 모양새입니다.

최저인금이 2023년에서 2024년도에 2.5%인상, 2022년에서 2023년에는 5.0%가 인상된 것에 비하면 아무리 급여가 어느정도 된다고하는 5급 이상의 직급이신 분들도 상당히 상실감을 느끼실 값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 외에도 합의된 사항이 몇가지 더 있는데, 결정사항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5급이상 2.3%, 6급이하 3.1%
  • <7급 이하 저연차 추가 차등 인상>
  • <6급 이하 직급보조비 2만원 인상>
  • <정액급식비 1만원 인상>
  • <초과근무수당 및 연가보상비 산식 개정 추후 협의>
  • <하위직 공무원 처우개선 TFT 구성>

2024년 공무원 봉급표는?

 

보시면 일반직공무원 9급 1호봉은 본봉 177만원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물론 각종 초근수당, 정액급식비 등이 붙긴하지만 그만큼 세금도 떼가기 때문에 대략 실수령액이 봉급표에 표시되어있는 본봉이다라고 생각하시면 편하실 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현재 공무원보수위원회에서 정한대로 공무원 임금이 인상되게 된다면임금액은 얼마가 되는걸까요?

바로 9급 1호봉을 기준으로 1,825,700을 본봉으로 받게됩니다. 현재 금액보다 54,900원 정도가 오른셈인데요 당초 금액이 워낙 적다보니 눈에띄는 변화는 아니지만 꼭 개선되어야 할 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반응형